[Python] sort, sorted 차이, 사용 방법
요즘 알고리즘 공부를 하고 있다 보니 내장 함수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깨닫게 되었다 배열 형식으로 주어진 문제는 거의 대부분 정렬만 잘해도 풀 수 있는데 파이썬에서는 list.sort(), sorted(list)를 사용한다 sort() 원본 리스트의 순서를 변경(원본에 영향을 끼침) 리턴 값 None 리스트형의 메소드 사용 방법 - list.sort(self, key, reverse) l1 = [1,3,5,4,6,2] print('정렬 전', l1) l2 = l1.sort() print('정렬 후', l1) print('리턴값', l2) l1.sort(reverse=True) #reverse를 True로 설정하여 내림차순 적용 print('내림차순', l1) key, reverse에 아무 조건을 달지 않으..
2022. 3. 25.
재귀함수(Recursion) 개념, 기본 예제
함수 안에 자기 자신을 재참조하는 방법 적어도 하나의 base case, 즉 순환되지 않고 종료되는 case가 있어야 한다 모든 case는 base case로 수렴해야 한다 암시적 매개변수를 명시적 매개변수로 바꿔야 한다 - 순차탐색에서 암시적 매개변수(처음 위치는 암시적으로 0부터 시작) data = [0,2,4,6,8,10,11] def search(data, n, target): for i in range(n): if data[i] == target: return i return -1 print(search(data,len(data),8)) - 순차탐색에서 명시적 매개변수(시작 위치, 끝 위치 명시적으로 표현) data = [0,2,4,6,8,10,11] def search(data, begin, ..
2022.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