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9 [JAVA] URL에 올려진 파일 다운로드 하는 방법 자바에서 URL에 올려진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하는 소스코드 [다운로드할 URL] [전체 코드]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FileOutputStream; import java.io.InputStream; import java.net.URL; import java.nio.channels.Channels; import java.nio.channels.ReadableByteChannel;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ddress = "https://~~~~~~~~ "; // 다운 받을 파일 주소 입력 try { URL url = new URL(address); Readabl.. 2021. 11. 4. [Java] 바이트 배열 데이터 파일 저장하기 이미지나 파일을 바이트 배열로 변경하고 그 바이트 배열을 다시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을 정리 사용할 클래스 FileInputStream: 파일 내용을 바이트 형식을 읽음 FileOutputStream: 파일에 바이트 스트림으로 저장하기 위한 클래스 BufferedInputStream: 바이트 기반의 성능 향상 입력 스트림, 직접적으로 파일을 쓸 수 없음 FIleInputStream 을 사용 BufferedOutputStream: 바이트 기반의 성능 향상 출력 스트림, 데이터를 쌓아두었다가 데이터가 다 차면 파일을 씀 1. FileInputStream으로 복사할 파일 내용을 byte 형식으로 읽어온다 - C:\\Users\\Public\\Downloads에 있는 Test.txt파일을 복사할 것이다 - Tes.. 2021. 11. 3. [git] push된 commit author 변경하기(커밋된 작성자 변경 방법) git을 여러 노트북에서 사용하다 보니 작성자가 변경되어 커밋되었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바꿀수 있었다 git User 변경 먼저 변경된 User 정보부터 변경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변경할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변경할email 이미 push된 commit 작성자 변경 - 소스트리에서 확인한 모습 1. 변경할 작성자와 이메일의 커밋해쉬값^을 rebase를 이용하여 변경한다 git rebase -i c6a8a21^ 2. pick으로 되어있는 부분을 edit또는 e로 변경 vi 편집기로 들어가지기 때문에 키보드 i를 눌러 insert모드가 되면 pick을 지우고 e를 입력한다 변경한 뒤 :wq를 하여 저장하고 나온다.. 2021. 11. 2. Python에서 SQLite 데이터 삭제하기(DELETE 문) 2021.09.13 - [Python] - Python에서 SQLite 사용 & 연동하기/파이썬 DB사용하기 - DB 테이블에서 행을 삭제할 때 사용되는 DELETE문 DELETE문 -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문 ※ WHERE 생략 시 모든 테이블의 행이 제거된다 ex) test_table 테이블에서 int_test열의 값이 1인 행을 삭제한다 파이썬에 DELETE함수 작성 def Delete_Coulmn(self,Data): sql = "DELETE FROM test_table WHERE int_test = \"" + Data + "\"" try: self.Cur.execute(sql) print("Success") except Exception as e: print('error:.. 2021. 10. 27. Python에서 SQLite 데이터 수정하기(UPDATE문) 2021.09.13 - [Python] - Python에서 SQLite 사용 & 연동하기/파이썬 DB사용하기 1. UPDATE 명령문은 DB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한다 2.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열의 이름을 사용하면 에러가 나서 실행되지 않는다 UPDATE SET 구문 - UPDATE 테이블명 SET 열 = 값 WHERE 조건식 (값을 한개만 변경할시) - UPDATE 테이블명 SET 열1 = 값, 열2 = 값,... WHERE 조건식 (값을 여러개 변경 할 경우) ※ WHERE 생략 시 모든 테이블의 행이 갱신된다 ex1) test_table의 테이블에서 int_test의 열의 값이 1인 경우 data값을 "change"로 변경 파이썬에 update 함수 작성 def Update_Data.. 2021. 10. 26. [Python] 파이썬 자료 구조(1) 자료구조란? 데이터의 효율적인 접근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해주는 저장 및 관리 방식 간단하게 말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 자료구조의 목적 자료를 구조화하여 데이터를 효율화하여 메모리의 용량을 절약하고, 실행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 자료구조의 선택 기준 자료의 처리시간 자료의 활용 빈도 자료의 크기 자료의 갱신 정도 프로그램의 용이성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스토리지 vs 메모리) - 스토리지 1.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곳 ex) 사진, 동영상, 워드 문서, 노래.. 등 사용자가 직접 지우지 않는 이상 사라지지 않는다) 2. 데이터를 저장하고 받아오는데 오래 걸린다 3. 정확히 언제 사용할지 모르는 것을 저장한다 - 메모리 1.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는 곳 한글파일 작성하고 있을때는 메.. 2021. 10. 21. [Python] 파이썬 numpy 배열 사용하기(2)/numpy.where 2021.10.17 - [Python] - [Python] 파이썬 numpy 배열 사용하기(1)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numpy 배열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1. 불린 배열 생성 boolean자료형도 배열로 생성할 수 있다 import numpy as np array1 = np.array([True,True,False,True]) print(array1) 2. np.where 사용 - 불린 값이 있는 배열에서 True값이 있는 배열 index를 반환한다 np.where(배열) import numpy as np array1 = np.array([True,True,False,True]) print(array1) print(np.where(array1)) - 조건식을 사용하여 배열에 원하는 조건의 값이 있는.. 2021. 10. 19. [Python] 파이썬 numpy 배열 사용하기(1) 파이썬 numpy 패키지로 배열 생성하는 방법 1. numpy 패키지 설치 터미널 창에서 pip install numpy를 입력 pip install numpy -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numpy모듈을 불러올 수 있다 2. numpy 모듈을 import 한다 import numpy as np as는 일종의 별명같은거라 numpy를 np로 간단하게 불러올 수 있다 3. 배열 생성 (1) array : 차원의 크기는 shape로 확인할 수 있다 : 배열 요소 갯수는 size로 확인 - 1차원 배열 import numpy as np array1 = np.array([1,2,3,4,5]) print(array1) print(array1.shape) print(array1.size) - 2차원 배열 ex) 2x5 .. 2021. 10. 17. [Python] PyQt5 메인윈도우에서 두 번째 창 값 가져오기/python GUI(6) 2021.10.12 - [Python/PyQt] - [Python] PyQt5 두 번째 창 열기(새창 열기)/python GUI(5) 이전 포스팅에서는 메인 윈도우에서 두 번째 창을 여는 코드를 작성했다 이번에는 두 번째창의 값을 메인 윈도우로 전달하는 코드를 추가한다 1. secondwindow.py의 Home함수를 수정한다 두 번째 창에 있는 Line Edit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Home버튼을 누르면 메인윈도우로 값을 전달 def Home(self): self.second_text = self.lineEdit.text() #lineEdit에 있는 값을 가져와서 second_text에 저장 self.close() second_text를 선언한 뒤 lineEdit값을 저장한다 2. Main Window .. 2021. 10. 14.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5 다음 반응형